
학생부종합전형이 강조되는 입시 환경에서 봉사활동은 주요 비교과 영역 중 하나입니다. 그러나 단순히 시간 채우기식 활동은 큰 의미를 갖기 어렵고, 자신의 관심사와 진로와 연결된 봉사활동이 더욱 효과적입니다.
그렇다면 독서와 학업에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도서관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비교과 기록을 쌓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도서관 자원봉사 참여 방법, 실제 기록 방법, 유의사항까지 모두 안내드립니다.
1. 도서관 자원봉사란?
도서관 자원봉사는 공공도서관 또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비영리 봉사 프로그램으로, 도서 정리, 책 대출 보조, 행사 지원, 독서 지도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합니다.
✅ 주요 활동 예시
- 도서 정리 및 서가 정돈
- 책 대출 및 반납 보조
- 도서관 행사 보조 (낭독회, 전시회 등)
- 어린이 독서 지도 보조
2. 누구나 참여할 수 있나요?
📌 참가 대상
- 중학생 이상 청소년
- 대학생 및 일반 시민
- 진로 체험 목적 고등학생
일반적으로 청소년 자원봉사는 1365 자원봉사포털을 통해 신청하며, 일부 지역은 도서관 자체 신청을 운영하기도 합니다.
3. 참여 신청 방법
① 1365 자원봉사포털 이용
- www.1365.go.kr 접속
- 회원가입 → 지역 설정 → ‘도서관 자원봉사’ 검색
- 원하는 일정 및 기관 선택 후 신청
② 도서관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
- 관할 구립/시립도서관 홈페이지 확인
- 봉사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 후 일정 조율
③ 청소년 진로체험 플랫폼 연계
- 꿈길, 위(Wee)클래스,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등에서 연계 가능
4. 봉사활동을 학생부에 기록하는 방법
✅ 기록 가능한 영역
- 자율활동: 봉사활동 참여 내용 요약
- 진로활동: 도서 관련 진로 체험인 경우
- 봉사활동실적: 시간, 기관, 내용 자동 기록 (NEIS 연계)
📎 기록 예시
활동 내용 | 기록 항목 | 기재 예시 |
---|---|---|
주 1회 도서 정리 | 자율활동 | 도서관에서 서가 정돈 및 분류 작업 보조 |
유아 대상 동화책 낭독회 보조 | 진로활동 | 어린이 독서 지도 활동에 참여하며 교육 진로 탐색 |
여름방학 도서관 봉사 | 봉사활동실적 | 7시간 봉사, 관악구립도서관, 도서 정리 및 대출 지원 |
5. 봉사활동의 입시 활용 팁
- 📘 진로와 연결된 봉사활동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매우 긍정적
- 📚 독서교육, 사서 체험, 교육봉사 등은 교육학·인문계열과 높은 연관성
- 📝 활동 후 소감문 또는 활동일지 제출 시 기록의 질 향상
💡 추천 조합:
도서관 자원봉사 + 인문 독서 프로그램 참여 → 자율·진로·봉사 항목 모두 커버 가능
6. 유의사항 및 실수 방지
- ✅ 봉사 시작 전 1365 인증 여부 확인 필수
- ✅ 무단 지각/결석 시 봉사 시간 인정 안됨
- ✅ 활동 사진 또는 기록은 스스로 보관
- ✅ 봉사활동은 ‘참여’가 아닌 ‘기여’가 핵심
⚠️ 이런 활동은 인정되지 않아요
- 형식적 참석 후 대기만 하는 경우
- 단순 시간 채우기 목적의 활동
- 허위 시간 입력 요청 등 부정행위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도서관 봉사활동을 몇 시간 이상 해야 하나요?
A. 입시 기준으로는 누적 시간이 중요하지 않습니다. 짧더라도 정기적이고 의미 있는 활동이 더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.
Q. 혼자 참여해도 괜찮나요?
A. 대부분 개인 신청이 가능하며, 담당 사서의 안내에 따라 팀 단위로 배치됩니다.
Q. 활동 확인서는 어디서 받나요?
A. 1365 포털에서 자동 등록되며, 직접 출력도 가능합니다. 도서관 자체 운영 시에는 수기 확인서를 요청해야 할 수 있습니다.
8. 마무리
도서관 자원봉사는 단순한 봉사 시간을 채우는 활동이 아니라, 자기주도성과 책임감을 증명할 수 있는 비교과 활동입니다. 특히 책과 관련된 진로를 희망하거나,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능력을 강조하고 싶은 학생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활동입니다.
가까운 도서관에 문의하거나, 1365 자원봉사포털에서 지금 가능한 일정을 확인하고 의미 있는 첫 봉사활동을 시작해보세요!
📌 참고 링크
- 1365 자원봉사포털
- 국립중앙도서관 – 도서관 행사 및 봉사 안내
- 지역 도서관 홈페이지 및 청소년상담복지센터
